가능도1 [통계] 최대 우도 추정(MLE) ,가능도(Likelihood) 부제: 가능도와 최대 가능도 추정 안녕하세요 파키노랩입니다. Josh Starmer의 유투브 자료는 참고를 위해 게시글 하단에 첨부하겠습니다. 1. Introduction 통계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MLE 개념은 최대의 가능도(우도)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. 가능도라는 개념도 참 애매모호합니다. 뭐가 가능하길래 확률과 다른걸까요? 가능도 또한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중 하나입니다. Likelihood와 M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2. Likelihood 가능도란 " 관측값 A가 관측되었을때 , 어떠한 분포 B에 해당할 확률" 입니다. 즉 관측된 A의 모집단 분포는 어떤 분포에 해당할까~? 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. 예를 들어 어떤 물체 A의 무게가 20g이라고 하면, 이 물체의 모집.. 2021. 11. 27. 이전 1 다음 반응형